스팀슨관(Stimson Hall)과 본관(本館, Underwood Hall), 신학(神學館, Appenzeller Hall)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스팀슨관은 1920년 완성되었으며, 건평 131.75평, 연건
평 414.56평의 석조 2층 건물로서 연세 캠퍼스에 최초로 세워졌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스팀슨씨(Charles M.Stimson)의 기부금으로 지은 것
으로, 대학본부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대학원과 대외협력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981년 9월 25일 문화재 사적 275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본관은 1924년에 본대학교의 전신 연희
전문학교의 창설자이며 초대 교장이었던 원두우(元杜尤) 박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그의 형제인 죤 언더우드씨의 기부금으로 지은 것이다.
건평 209.74평, 연건평 876.38평인 이 4층의 석조 건물은 문과대학 전용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지은 대학 본부 건물로 총장실, 기획실, 교무처, 총무처 및 재무처에서 사용하고 있
으며 문화재 사적 276호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 매사츄세츠 피츠월드의 제일감리교회에 의한 기부금으로 1924년에 준공된 신학관은 현재 신과대학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평 131.34평, 연건평 471.59평의 석조 3층 건물로 문화재 사적 277호로 지정되어있다.
연희관은 1956년 10월에 미 제5공군과 본 대학교에 의해서 지어진 건평 423.80평, 연건평 2,014.65평의 방대한 건물로 현재 사회과학대학과 행정대학원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이 연희관은 이 건물을 세우는데 도와준 미국의 원조, 협력 정신을 체득하여 세계평화와 자유 정의의 실현을 위하고 과학 교육으로 문화 창조, 진리의 거화(巨火)를 밝힌 선배들의 유풍선양(遺風宣揚)을 기념하고 진리 자유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쓰이고 있다. 연희관이라 부르게 된 것은 1957년 “연희”와 “세브란스”가 통합될 때 “연희”란 이름을 남기기 위해 지어진 것이다.
한편 연희관 인근으 아름다운 캠퍼스에서는 “엽기적인 그녀”와 “클래식”등 많은 한국영화 촬영지로 이용되고 있다.
본관과 별관 2개 동으로 이루어진 상경관은 1996년 6월 당시 상경대학 동문회장이었던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과 상경대학 동문들의 기부금으로 건립되었다.
본관은 학부강의실, 연구실, 대학원강의실, 행정실로 사용되고 있으며, 별관은 연구소, 고시반 학부.대학원 독서실, 상경대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완공 당시 건물의 명칭을 “이한열관”으로 하자는 논의도 있었으나, 상경대학 동문인 김우중씨와 대우그룹의 기여를 기념하여 이사회에서 “김우중기념관”, “대우관”으로
결정하였다. 현재 상경대학, 경영대학, 경영대학원, 경제대학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세계 속의 연세'라는 기치 아래 세계적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국제적 교육기관으로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건립한 새천년관은 1997년 5월 기공하여 3년간의 공사 끝에 2000년 5월 준공되었다. 1,700여 평의 대지에 연건평 4,300평 규모로 지어진 새천년관은 지하 3층, 지상 7층의 건물에 강의실·세미나실·멀티미디어실·컴퓨터실·국제회의실·기상도서관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제학대학원, 국제교육교류부, 동서문제연구원, 국제학연구소, 현대한국학연구소 등 국제학 관련기관들이 입주하여 국제화 교육과 연구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1986년 교육부로 부터 국제전문인력양성 특성화대학원으로 지정되어 국제사회의 주역이 될 역량있는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연어연구교육원은 1969년 4월 1일 외국인 선교사·외교관 등에게 한국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가르치고 이해시킬 목적으로 설립된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을 모체로 하여 발족하였다. 현재의 언어연구교육원 건물은 1969년 12월 착공하여 1990년 12월에 완공한 것이다. 언어교육연구원에는 한국어학당과 더불어 1969년 4월 1일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외국어 교육을 위해 설립한 외국어학당도 소속되어 있다. 외국어학당은 현재 영어, 일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 세계 주요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배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국제학사는 학위과정 또는 학문교류를 목적으로 연세대학교에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과 교포학생들에게 숙식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세계 속의 연세'로서 국제적인 상호이해와 실질적인 문화교류 효과를 증진시키고자 마련된 건물이다. 국제학대학원과 국제교육교류부에서 주관하여 1987년 4월에 시공, 1987년 12월에 완공하였다. 지하 1층, 지상 5층의 건물로 내부에는 120실의 학생침실과 다용도 거실, 지하 운동실, 세탁실 등이 설비되어 있다.
연세대 정문에서 백양로를 따라 캠퍼스를 오르다 노천극장을 끼고 돌면 마주하는 숲인 청송대는 이름대로 사시사철 푸른 소나무 숲이 우거진 연세인들의 뒷 뜰이다.
청송대에서 동문쪽으로 향해 난 뒷길은 연희전문학교 시절부터 널리 알려진 유명한 데이트 코스인데, 숲이 깊고 경관이 수려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대학시절의
낭만과 추억을 쌓으려는 대학생 커플들이 즐겨 찾는다. 이양하씨의 수필 나무, 신록예찬등의 모티브가 됐던 청송대는 늘 푸른 소나무 덕에 언제나 변함 없는
분위기로 재학생은 물론 졸업생과 지역 주민들의 발길을 끌어당긴다. 동문들은 특히 청송대의 겨울 설경을 가장 아름답다고 입을 모은다. 봄꽃의 고운 자태가
사라지면 한여름의 무성한 초록이 숲을 뒤덮고, 바람이 스산해지는 가을을 지나 겨울이 다가오면 많은 이들이 눈으로 덮인 청송대의 비경(祕境)을 기대한다.
연세만이 자랑하는 자연의 성역으로 1932년 Dr.Miller 교수에 의하여 설계되어 1933년 5월 준공되었으며, 이 공사가 있기에는 교직원 및 학생 전원이 각각
하루씩 작업을 도왔다. 대강당이 세워지기 전까지 이곳이 연희의 정신을 길러주고 마음을 가꾸어 주던 곳으로 그 유서가 깊다.
이후 1957년 여름에 보수공사를 거쳐 보수되었으며, 현재의 노천극장은 동문들의 성금을 모아 1999년 5월 준공된 초현대식 건물로 성금을 낸 동문들의 이름을 대리석에
새겨놓고 있다.
현재의 광복관은 2000년 법학과 창립 50주년을 계기로 추진된 연세법학 발전사업의 하나로 옛 광복관을 허물고, 그 터에 2000년 5월에 신축된 건물로 당시에는 교육관으로 불렸다. 1층은 정법대학, 2층은 대학원, 3층은 도서관으로 사용되다가 1981년 정법대학이 사회과학대학과 법과대학으로 분리된 이후 사회과학대학의 전용건물이 되었다. 1984년 사회과하개학이 연희관으로 이주한 뒤, 용재관으로 옮겨온 법과대학이 이주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광복관'이라는 명칭은 일제의 탄압 아래서도 우리말과 역사를 가르치며 조국과 연세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유억겸, 이춘호, 이묘묵 교수와 납북된 정인보·이순탁 교수 그리고 백낙준·최현배·홍승국 교수의 공을 기리기 위해 1968년 이사회에서 붙인 이름이다.
‘연세 백년을 향한 마스터 플랜’에 따라 1977년 5월에 착공 1979년 3월 30일에 준공을 본 중앙도서관은 오늘의 연세교육에 부과된 사명과 책임을 수행하려는 의지의 표상이며 연세학문의 발전과 문화창조의 원천이다. 본 도서관은 4,747평의 대지 위에 열람인원 4,600석, 장서소장능력 100만권을 목표로 세워진 연면적 5,210평의 건물로 1992년 증축되어 연면적은 5,856평으로 늘어났다. 지상 5층, 지하 1층, 옥탑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민간건축으로는 규모가 가장 큰 화강석 석조건물이다. 특별히 미국 AID자금 1백만불을 무상원조 받아 도서관내 컴퓨터시설비, 냉난방 기계설치비 일부 및 도서관내의 모든 비품을 마련하였다.
연세대는 교환학생, 어학 연수생, 정규 유학생을 포함한 외국인학생수가 2002년 기준, 4329명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학생에 대한 교내 공간 제공을 위해 설립된 글로벌 라운지는 연세대학교 학생회관에 위치하며 전세계의 다양한 방송과 인터넷 뉴스를 직접 서비스하는 인터넷 카페의 개념이다. 이곳에서는 외국학생과 연세대학생이 직접 만나거나 LAN과 컴퓨터를 통한 온라인 만남을 갖기도 하며, 세미나 및 개인 작업등의 다양한 용도를 위한 방음장치의 세미나룸이 있다. 또한 재학생과 외국인 학생을 버디로 묶어주는 버디 프로그램 및 언어교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기도 한다.
1885년 미국인 선교사 겸 의사 호레이스 앨런이 고종의 도움으로 서울 재동에 세운 왕립 의료기관이다. 한국 최초의 서양식 의료기관이었던 광혜원은 개원
12일만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지금의 외교통상부)의 계(啓)에 따라 이름을 제중원(濟衆院)으로 바뀌었는데,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로
운영권이 넘어간 제중원의 부속 의학교 초대 교장 에비슨이 세브란스병원의 실질적 설립자다. 이후 1904년 9월 3일 서울 남대문 밖 복숭아골(지금의 도동)에
세브란스병원이 문을 열었다. 세브란스라는 이름은 병원 설립 자금 15,000달러를 기부한 미국 클리블랜드의 재력가 루이 세브란스에게서 따온 것이며 이 의료기관의 기원이 바로 광혜원이다. 세브란스병원과 거기 딸린 세브란스 의학교의 역사는 한국의 근대적 의료사의학사의 중추를 이룬다.
세브란스 의학교는 세브란스 연합 의학전문학교, 세브란스 의과대학을 거쳐 1957년 연희대학교와 함께 연세대학교로 통합되면서 연세대 의과대학이 되었고,
세브란스병원은 두 대학 통합 뒤인 1962년 신촌의 현재 자리로 이전해 연세의료원의 핵심이 되었다.
현재 연세대학교 캠퍼스 내의 광혜원은 최초 설립된 광혜원의 모습을 재현해놓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