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동정]
“윤석열 복귀? 트럼프도 이시바도 상대 안 해줄 것”-문정인 명예특임교수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74)는 “설령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기각되어 윤석열 대통령이 다시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국제사회에서 외교를 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문 교수는 31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도널드 ..
경향신문 2025.04.01 -
[인물동정]
<일요초대석> 이규식 연세대 명예교수 ‘의정 갈등을 말하다’
지난해 2월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 이른바 의정 갈등의 시발점이다. 같은 달 전공의는 병원을 떠났고 의대생은 학교를 쉬겠다고 선언했다.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의사단체는 강경한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전공..
일요시사 2025.04.01 -
[교육뉴스]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12·3 이후 가슴 타들어가… 이렇게 오래 끌 일인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기약 없이 미뤄지자 서울대 교수·연구자들이 시국선언을 통해 신속한 파면을 촉구했다. 서울대 교수·연구자들은 31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의 신속한 파면을 촉구한다'는 제목의 4차 ..
한국일보 2025.04.01 -
[교육뉴스]
돌아온 의대생…정부 "수업 참여해야 내년 정원 동결"
31일 오전 서울 신촌동 연세대 의과대학 1층 해부학 강의실. 약 2m 폭의 좁은 복도에 학생 10여 명이 교과서를 들고 분주하게 돌아다녔다. 해부학 수업은 본과 1~2학년 학생이 주로 듣는 수업이다. 이날 만난 한 의과대학 교수는 수업을 들으러 온 학생이 많이 있느냐는..
한국경제 2025.04.01 -
[교육뉴스]
수업 복귀 의대생에 '배신' '어떻게 생겼나 보러 왔다' 댓글
31일 오전 대전 서구 건양대 의대 명곡의학관. 6층 한 강의실에서 학생 20~30명이 수업을 듣고 있었다. 건양대 의대는 3월 초 개강했지만 지금까지 강의실에 출석한 학생이 2~3명에 불과했다. 그런데 이날 분위기가 크게 바뀐 것이다. 의대 다른 강의실 4곳에서도 비슷..
조선일보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