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뉴스]
KAIST “인문학-사회과학에 AI 접목해 융합연구 분야 개척”
2015년 소설가 신경숙 씨 표절 논란으로 한국 문학계에 ‘문학권력’ 논쟁이 불붙었다. 당시 KAIST 문화기술대학원의 전봉관 교수팀은 지난 21년간(1994∼2014년) 간행된 ‘창작과비평’ 등 대표적인 문학 계간지들의 분석을 통해 문학권력의 실체를 밝혀냈다. 물론 그 ..
동아일보 2022.04.08 -
[교육뉴스]
사법시험도 아닌데 8수했다…갑이 돼버린 취업·투자학회
금융 전문가가 되겠다는 꿈을 품고 2016년 연세대에 입학한 A씨는 2학년 2학기부터 뜻밖의 시련에 맞닥뜨렸다. 교내 인기 동아리 금융학회에 지원했는데 낙방한 것이다. 졸업 직전 학기까지 8차례 지원했으나 내리 떨어졌다. 경쟁률도 높았지만, 스펙과 전문지식을 요구..
중앙일보 2022.04.08 -
[인물동정]
경계에 머무는 ‘계류자’로 우리 곁에 맴도는 귀신들-최기숙 연세대 국학연구원 교수
죽을 수도 살아갈 수도 없어 이승을 떠도는 존재인 귀신은,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오늘날에도 여전히 각종 대중문화 콘텐츠 등을 타고 우리 곁을 맴돌고 있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해온 최기숙 연세대 국학연구원 교수는 <계류자들>에서 “장르..
한겨레 2022.04.08 -
[인물동정]
2022 수시 합격자 릴레이 인터뷰-연세대학교 치의학과 김민기 학생
어떤 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든 수능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수시에서도 수능최저가 필수인 대학이 많고, 정시 비중 또한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고3 수험생은 그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는 경우가 많다. 뒤늦게 수능 공부에 매달리는 친구들과 달리 김..
내일신문 2022.04.08 -
[인물동정]
부커상 최종 후보 정보라 "한국 장르 문학으로 올라 뿌듯"-연세대 인문학부 졸업
SF와 호러 판타지 소설에서 두각을 나타낸 정 작가는 연세대 인문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러시아 동유럽 지역학 석사, 인디애나대에서 슬라브 문학 박사를 취득했다.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소설을 쓰고 러시아를 비롯한 슬라브어권의 SF·판타지 문학을 번역한다..
연합뉴스 20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