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신의, 대암 이태준 선생을 기억하다
몽골 마지막 황제의 주치의로 활약
각지의 애국지사들과 함께 항일 운동 전개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시에 가면 아주 특별한 공원을 만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한 군인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자이승 승전 기념탑’ 아래 위치한 이 공원은 오직 한 사람을 기리기 위해 건립됐다. 바로 세브란스의학교 2회 졸업생이자 몽골의 신의(神醫)라 불리는 독립운동가 대암 이태준 선생(1883~1921)이다. 그는 조국에서 2,000km나 떨어진 이 곳에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
대암 이태준 선생
세브란스 2회 졸업생
청년학우회 가입해 안창호 등과 구국활동 펼쳐
이태준 선생은 조선이 외국에 문호를 개방해 근대 문물이 밀려들어올 즈음인 1883년 11월 21일 경상남도 함안에서 태어났다. 1907년 세브란스의학교에 입학한 그는 에비슨에게 의학을배우며 당시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의 권유로 ‘청년학우회’에 가입해 구국 운동에 참여하던 청년이었다. 당시 안창호는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암살사건으로 일본총감부에 체포되었다가석방돼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11년 6월, 그는 세브란스 2회 졸업생으로서 모교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면서도 항상 독립운동을 펼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그해 12월 1회 졸업생 김필순이 중국으로 망명하자 이태준 선생은 중국 난징으로 떠나 조선 독립군 부상자를 돌본다. 1912년 7월 16일 그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에서 당시 그의 심정을 읽을 수 있다.
“의학교를 졸업하고 병원에서 근무하게 되었으나 날로 심화되는 일제의 침략과 탄압에 분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는 중국으로 망명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신통한 의술을 지닌 고려인 의사
각지 애국지사들과 항일활동 전개
항일 애국지사인 김규식의 권유로 그가 난징을 떠나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도착한 것은 1914년이었다. 몽골에서 ‘동의의국(同義醫局)’이라는 병원을 개설한 이태준 선생은 근대식 의술을 통해 당시 몽골에 만연해 있던 화류병을 퇴치했다. 이후 몽골왕궁에 출입하게 되면서 고 몽골 마지막 황제의 주치의가 되는 등 몽골왕족의 두터운 신임을 확보하게 된다. 당시 고륜 일대에서 신통한 의술을 지닌 고려인 의사라 불리며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했다고. 그는 1919년 몽골의 최고훈장인 ‘에르테닌오치르’를 수여받기도 했으며 같은 해 11월 11일자 <독립신문>은 “몽골사람들은 그를 극락세계에서 경험한 여래불을 대하듯 존경한다고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몽골사회에서의 이러한 신뢰를 발판으로 이태준은 각지의 애국지사들과 긴밀하게 연락관계를 유지하며 여러 주요한 비밀 항일활동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그는 소련이나 중국을 왕래하던 독립운동가들을 적극적으로 도우며 러시아로부터 상해 임시정부로 가는 독립운동자금 40만 불을 무사히 전달하기도 했다. 이후 의열단에 가입해 폭넓은 독립운동을 펼치던 그는 1921년 2월 당시 몽골을 점령한 러시아군 내 친일세력에 의해 피살당하고 만다. 그의 나이 38세였다.
몽골에 세워진 이태준 기념 공원
그의 정신 이어 몽골서 각종 의료 봉사 진행
이태준은 몽골인들이 성산(聖山)이라 부르는 남산의 한 켠에 묻혔다. 이곳을 찾은 독립운동가 여운형은 1936년 여행기에서 “이 땅에 있는 오직 하나의 이 조선사람의 무덤은 민중을 위해젊은 인생을 바친 한 조선청년의 기특한 헌신과 희생의 기념비”라며 이태준을 애도했다.
한편, 1980년 한국정부는 이태준의 공훈을 기려 대통령 표창을 추서했으며 2001년 울란바토르에 ‘이태준 선생 기념 공원’이 세워졌다. 연세의료원은 1994년 몽골에 ‘연세친선병원’을 세워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의 뒤를 잇고 있다. 또한 매년 여름 자원 의료봉사단을 구성해 몽골의 의료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의료봉사를 펼치고 있다. 그는 손닿을 수 없는 먼 땅에 잠들었지만 여기 연세인 이태준 선생이 보여준 희생과 봉사의 정신은 이곳에 남아 연세를 밝히고 있다.
연세소식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를 작성 후 news@yonsei.ac.kr로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