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소식

[연구 프론티어] 홍진규 교수팀, 조선 후기 기후 데이터 전 세계에 공개

연세대학교 홍보팀 / news@yonsei.ac.kr
2024-06-04

홍진규 교수팀, 조선 후기 기후 데이터 전 세계에 공개

자료 품질 분석 기법으로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기상 자료 복원 성공

우리 선조의 과학적 우수성을 알리고 고기후 연구를 위한 자료 제공 

[그림 1.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기록으로 복원된 조선시대 후기(1778~1907) 서울의 강수량]


대기과학과 홍진규 교수 연구팀이 조선시대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에 기록된 측우기 측정 강수량과 기상 자료를 복원해 전 세계에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18~19세기 기후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시대에 발명된 측우기는 현재의 강수량 측정 방식과 유사한 원리를 가진 세계 최초의 우량계이다. 세종대왕 재위 때 농업 생산량 극대화를 위해 발명된 이 장치는 전국적으로 강수 기록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측우기로 측정된 강수 기록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쟁과 민란으로 인해 대부분 소실됐다. 


이후 조선 후기 영조의 노력으로 강수량 측정이 재개됐으며, 조선시대 왕의 일상을 기록한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에는 강수량 기록과 함께 날씨 현상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1911년 일본인 와다에 의해 강수량 분석이 시작된 이후, 국내에서도 계속해서 강수량 자료를 복원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강수량 복원 연구는 한자로 쓰여진 기록물을 눈으로 읽어가고 이를 수기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컸다. 또한, 하나의 문서만으로 연구하다 보니 강수량 자료가 없는 기간도 많아 조선시대 후기 기후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차와 결측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디지털화된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으로부터 자료를 추출하고, 두 문서로부터 추출한 기상 정보의 일관성을 이용한 ‘자료 품질 분석 기법’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결측 기간이 없고 통계적으로 보다 의미 있는 자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정교하게 복원된 강수량 자료는 조선시대 후기에 나라의 근간을 흔들었던 대기근과 질병에 영향을 준 가뭄과 홍수에 대한 기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특히, 1778년부터 1907년까지 130년 동안의 강수량 및 기상 자료는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인류의 화석연료 배출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일어나기 전 기후 특성과 소빙하기 후반부의 강수량 특성을 이해하는데 활용 가능한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연구의 제1저자인 이재원 박사는 “이번에 복원된 자료는 우리 선조의 과학적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보다 정교한 과거 기후 자료를 복원시켜 관련 연구를 진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자료 복원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저명한 데이터 저널 ‘사이언티픽 데이터(Scientific Data, IF 9.8)’에 5월 31일 출판됐다.


논문정보

● 논문 제목: 

Precipitation data in Seoul, Korea during 1778-1907

● 논문 주소: https://doi.org/10.1038/s41597-024-03335-8


 

vol. 전체

연세소식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를 작성 후 news@yonsei.ac.kr로 보내주세요
신청서 다운로드